서울 지하철 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노선으로, 1985년 구파발역에서 양재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93년 수서역까지, 2010년 오금역까지 연장되었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나누어 운영하며, 지축역에서 오금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일산선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담당한다. 일산선과 직결 운행하며, 지축역에서 대화역까지 운행하거나 구파발역에서 오금역까지 운행한다. 노선 거리는 38.2km이며, 34개의 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과 4호선 폐차 관리, 3호선 전동차 일부를 관리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차량기지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8대를 관리하며,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이어져 입·출고 검수관리를 수행한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경기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기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명 | 서울 지하철 3호선 |
노선색 | '#fe5b10' |
![]() | |
![]() |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망 | 서울 지하철 |
기점 | 지축역 |
종점 | 오금역 |
역 수 | 34 |
개업 | 1985년 7월 12일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
노선 거리 | 38.2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
노선도 | |
한국어 명칭 | |
한글 | 서울교통공사 3호선 서울메트로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한자 | 서울交通公社3號線 서울메트로3號線 서울地下鐵3號線 |
가타카나 | 소우루교톤곤사・사모센 소우루메토로・사모센 소우루・치카테츠・사모센 |
히라가나 | 소우루こうつうこうしゃ・さんごうせん 소우루메토로・さんごうせん 소우루・ちかてつ・さんごうせん |
영어 | Seoul Metro Line3 Seoul Subway Line3 |
기타 | |
다른 뜻 |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 |
2. 역사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인 구자춘에 의해 기존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4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철로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일부 제한하는 1978년 8.8조치로 인해 거의 대부분이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 건설은 실패하고 컨소시엄도 해산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현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 의해 건설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에 의해 운영되게 되었다.[1]
1985년 구파발역-양재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93년 10월 30일 양재역-수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0년 2월 18일 수서역-오금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6년 지축역을 기점으로 하는 일산선이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로 건설되어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2. 1. 연표
- 1980년 2월: 구파발역 - 양재역 구간 착공
- 1983년 9월 13일: 구파발역 ~ 양재역 구간 역명 결정[2]
- 1985년 3월 1일: 장충역을 '''동대입구역'''으로 역명 변경[3]
- 1985년 4월 1일: 홍은역에서 '''홍제역'''으로, 홍제역에서 '''무악재역'''으로 역명 변경[4]
- 1985년 7월 12일: 구파발역 ~ 독립문역 (8km, 7개 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역 ~ 양재역 (18.2km, 16개 역) 개통[5]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 역명 변경[6]
- 1989년 12월: 양재역 - 수서역 구간 착공
- 1990년 4월 1일: '''지축역''' 역명 결정 및 화물터미널역을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7]
- 1990년 7월 13일: 지축역 ~ 구파발역 (1.5km, 1개 역) 개통
- 1993년 10월 30일: 양재역 ~ 수서역 (7.5km, 7개 역) 개통.
- 1996년 1월 30일: 한국국철(당시) 일산선 개통(지축역~대화역, 19.2km), 상호 직통 운행 개시.
- 2000년 5월 1일: 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통합
- 2009년 10월 29일: 경찰병원역 역명 결정[8]
- 2010년 2월 18일: 수서역 ~ 오금역 (3km, 3개 역) 개통.
- 2013년 1월 3일: '''경복궁(정부중앙청사)역'''을 '''경복궁(정부서울청사)역'''으로 변경[9]
3. 운영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가 전 구간을 운영하며, 지축역에서 일산선과 직결하여 대화역까지 또는 구파발역까지만 운행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행으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행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으며, 각 공사 소속 전동차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편성된다.[10]
서울 북서부 은평구에서 남동부 송파구를 잇는 노선으로, 일산선과 직결 운행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을 구성한다. 서울 중심부와 강남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지나 이용객이 많다. 한국철도공사 일산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하거나, 구파발역에서 오금역까지 운행한다.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최단 3분 20초 간격, 낮 시간에는 약 6~7분 간격(1시간당 9회), 주말 낮 시간에는 약 6분 간격(1시간당 10회)으로 운행한다.
3. 1. 차량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10]가 운행되고 있다.4. 역 목록
거리
거리